리버풀 FC (몬테비데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버풀 FC (몬테비데오)는 1908년 우루과이 몬테비데오에서 가톨릭 학교 학생들에 의해 창단된 축구 클럽이다. 잉글랜드 리버풀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2023년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 1970년대 유럽 원정을 통해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었고, 코파 수다메리카나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도 참가했다. 2024년에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조별리그에 참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5년 설립된 축구단 - AS 리보르노 칼초
AS 리보르노 칼초는 1915년에 창단되어 세리에 A 준우승 2회 기록을 보유하고, 세리에 A, B, C를 오가며 활동하다가 구단 파산으로 해체 후 재창단되어 현재 세리에 D에 소속되어 있다. - 1915년 설립된 축구단 - PSM 마카사르
PSM 마카사르는 1915년에 창단되어 마카사르를 연고로 하는 인도네시아 축구 클럽으로, 페르세리카탄 시대 5회, 리가 인도네시아/리가 1에서 2회 우승했으며, 피알라 인도네시아 우승과 AFC 챔피언스리그 및 AFC컵 등 아시아 클럽대항전에도 참가했다. -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구단 - 페냐롤
페냐롤은 1891년 창단되어 1913년 재창단된 우루과이의 축구 클럽으로,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등 국제 대회에서도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풋살, 농구, 럭비 팀도 운영한다. - 우루과이 프리메라 디비시온 구단 - 플라사 콜로니아
1917년 창단된 우루과이의 축구 클럽 플라사 콜로니아는 콜로니아 데포르티보를 연고로, 2000년 프로 데뷔 후 2016년 클라우수라 챔피언십 우승으로 "우루과이의 레스터 시티"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2021년 아페르투라 토너먼트 우승으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했다. - 축구 리그 - 프리미어리그
프리미어리그는 1992년 잉글랜드 1부 리그 클럽들이 풋볼 리그에서 독립하여 창설된 잉글랜드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로, 20개 클럽이 참가하여 승점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며, UEFA 챔피언스리그 및 유로파리그 진출과 EFL 챔피언십 강등이 결정되는 인기와 수익이 높은 리그이다. - 축구 리그 -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
프리마 카테고리아 1912-13은 이탈리아 축구 연맹이 주관한 12번째 리그로, 올림픽 성적 부진 이후 지역별 예선 및 전국 결선 방식으로 개편되었으며, 프로 베르첼리가 우승하여 리그 3연패를 달성했다.
리버풀 FC (몬테비데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Liverpool Fútbol Club |
별칭 | Negriazules (네그리아술레스) Los negros de la cuchilla (로스 네그로스 데 라 쿠치야) |
창단일 | 1915년 2월 15일 |
홈 구장 | 에스타디오 벨베데레,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
수용 인원 | 10,000명 |
회장 | 호세 루이스 팔마 |
감독 | 호아킨 파파 |
웹사이트 | 리버풀 FC 공식 웹사이트 |
클럽 용품 | |
홈 유니폼 | 상의: 흰색 바탕에 파란색 소매 하의: 검정색 양말: 검정색 |
원정 유니폼 | 상의: 흰색 하의: 흰색 양말: 흰색 |
써드 유니폼 | 상의: 흰색 바탕에 빨간색 소매 하의: 빨간색 양말: 흰색 |
현재 시즌 | |
리그 | 프리메라 디비시온 |
시즌 | 2024년 |
순위 | 프리메라 디비시온, 16개 팀 중 12위 |
2. 역사
1900년대 초 우루과이에 축구가 널리 퍼지면서 누에보 파리스의 카푸친 신부 학교 학생들은 축구팀을 조직했다. 당시 잉글랜드 축구팀들이 몬테비데오를 방문하면서, 지역 클럽들은 리베르 플라테, 다누비오 FC처럼 영어식 이름을 짓는 것이 유행했다. 학생들은 몬테비데오로 오는 영국 배들이 대부분 리버풀에서 출발한다는 점에 착안해 클럽 이름을 'Liverpool'로 지었다.[3]
1915년 2월 15일, 가게 안쪽 방에서 클럽 창단이 정식으로 결정되었고, 가게 주인이 초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우루과이 축구 협회 주최 뉴캐슬 유나이티드 FC와의 친선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했고, 1916년에는 2부 리그로 승격했다.[3] 당시 우루과이에는 프로 리그가 없었고 아마추어 리그였다. 1919년에는 1부 리그로 승격했다.[3]
1963년, 프로 리그 참가 이후 처음으로 강등되었다. 1966년까지 3년간 2부 리그에 있다가 1부 리그로 복귀했다.[3]
1971년, 약 2개월간 유럽 원정을 통해 12경기(3승 6무 3패)를 치렀고, 우루과이 클럽 최초로 해외 원정 8경기 연속 무패 기록을 세웠다. 베르더 브레멘전(4-1), 세비야전(2-1) 승리,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스포르팅 리스본과의 무승부로 몬테비데오는 열광했고, 귀국 후 첫 경기에서 25,000장의 티켓이 팔렸다.[3]
다음 해, 피에리노 라투아다|Pierino Lattuadaes가 FC 지롱댕 드 보르도로 50000USD에 이적했고, 이 이적료로 새 클럽 본부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후 성적이 하락하여 80년대에는 2부 리그로 강등되기도 했다.[3]
90년대에는 루이스 발바토가 골키퍼임에도 7골을 기록해 팀 시즌 득점왕에 올랐다.[3]
2001년부터 2002년까지 2부 리그에서 무패로 승격했다. 다음 해 1부 리그 클라우수라에서 2위를 했고, 알렉산더 메디나|Alexander Medina영어가 리버풀 최초 리그 득점왕이 되었다.[3]
2008년 에두아르도 파바로 감독 부임 후, 코파 수다메리카나(2009년)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2011년) 출전권을 획득했다.[3]
2023년, 클럽 최초 1부 리그 연간 챔피언이 되었다.[4]
2. 1. 창단 배경 (1908년 ~ 1915년)
리버풀 FC (몬테비데오)는 1908년 누에보 파리스에 있는 카푸친 학교의 학생팀에서 시작되었다.[1] 몬테비데오와 리버풀 사이에는 문화적 연관성이 컸는데, 몬테비데오에 도착하는 석탄 선박 대부분이 리버풀 항구에서 출발했기 때문이다.[1] 당시 몬테비데오 원더러스처럼 많은 우루과이 클럽들이 영어식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유행이었다.[1]1900년대 초, 우루과이에 축구 문화가 도입되어 붐이 일자, 누에보 파리스의 카푸친 신부 학교 학생들은 팀을 조직했다. 당시 잉글랜드 축구팀(에버턴 FC, 사우샘프턴 FC, 노팅엄 포레스트 FC 등)이 몬테비데오를 방문한 영향으로, 지역 클럽 팀들은 리베르 플라테, 다누비오 FC 등 영어 클럽명 또는 그와 비슷한 어감의 클럽명을 짓는 것이 유행했다. 몬테비데오로 운항하는 영국 배 거의 모두가 리버풀에서 출항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학생들은 잉글랜드 도시와 같은 스펠(''Liverpool'')의 클럽명을 채택했다.[3]
1915년 2월 15일, 거리 한쪽에 있는 가게 안쪽 방에서 클럽 설립이 정식으로 결정되었고, 초대 회장으로는 그 가게 주인이 선출되었다.[3]
2. 2. 초기 역사 (1915년 ~ 1960년대)
리버풀 FC (몬테비데오)는 1908년 누에보 파리스에 있는 카푸친 학교의 학생팀에서 시작되었다. 몬테비데오에 도착하는 석탄 선박의 대부분이 영국 항구에서 왔기 때문에, 이 클럽은 몬테비데오와 리버풀 사이에 문화적 연관성이 많아 리버풀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1] 몬테비데오 원더러스와 같이 많은 클럽들이 영어식 이름을 사용했다.1900년대 초, 우루과이 국내에서 축구 문화가 도입되어 붐이 일자 누에보 파리스의 카푸친 신부 학교 학생들이 모여 팀을 조직했다. 당시 잉글랜드의 축구팀(에버턴 FC, 사우샘프턴 FC, 노팅엄 포레스트 FC 등)이 몬테비데오를 방문한 영향으로, 지역 클럽 팀들은 리베르 플라테, 다누비오 FC, Bristol Football Club|브리스톨 FC영어 등 영어 클럽명 또는 그와 비슷한 어감의 클럽명을 짓는 것이 유행했다. 그래서 몬테비데오에서 운항하는 영국의 배 거의 모두가 리버풀에서 출항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학생들은 잉글랜드 도시와 같은 스펠(''Liverpool'')의 클럽명을 채택했다.[3]
1915년 2월 15일, 거리 한쪽에 있는 가게 안쪽 방에서 클럽의 설립이 정식으로 결정되었고, 초대 회장으로는 그 가게 주인이 선출되었다. 우루과이 축구 협회가 주최하는 뉴캐슬 유나이티드 FC와의 친선 경기에서 1-0으로 역사적인 승리를 거두었고, 그로부터 1년 후인 1916년에는 2부 리그 승격을 달성했다.[3] 당시 우루과이에는 프로 축구 리그가 없었고 아마추어 리그였다. 후에 올림픽 대표로 선발되는 선수를 4명이나 보유한 팀은, 설립 4년 만인 1919년에 1부 승격을 달성했다.[3]
1963년에는 리버풀이 프로 리그에 참가한 이후 처음으로 강등되었다. 그 후 1966년까지 3년간 2부 리그에 소속되어 있다가 최종 경기에서 1부 리그 복귀를 결정했다.[3]
2. 3. 유럽 원정과 성장 (1970년대 ~ 2000년대)
1971년, 약 2개월간 유럽 원정을 가 12경기(3승 6무 3패)를 치렀고, 우루과이 클럽으로는 처음으로 해외 원정 8경기 연속 무패 기록을 달성했다. 베르더 브레멘전(4-1)이나 세비야전(2-1)과 같은 승리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스포르팅 리스본 등과의 무승부로 몬테비데오는 열광했으며, 귀국 후 첫 경기에서는 25,000장의 티켓이 판매되었다.[3]다음 해, 당시 21세였던 피에리노 라투아다|Pierino Lattuadaes가 FC 지롱댕 드 보르도로 50000USD에 이적했고, 이 이적료의 약 3분의 2를 사용하여 새로운 클럽 본부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그 후 성적은 하락하기 시작했고, 80년대에는 다시 2부 리그로 강등되기도 했다.[3]
90년대에는 루이스 발바토가 골키퍼이면서도 7골을 기록하여 팀의 시즌 득점왕에 올랐다.[3]
2001년부터 2002년까지 2부 리그에서 뛰었지만 무패로 승격했다. 다음 해, 1부 리그 클라우수라에서 2위를 기록했고, 알렉산더 메디나|Alexander Medina영어가 리버풀 역사상 최초로 리그 득점왕을 차지했다.[3]
2. 4. 국제 대회 진출과 최근의 성공 (2008년 ~ 현재)
2008년 에두아르도 파바로 감독이 부임하면서, 리버풀은 클럽 역사상 최초로 코파 수다메리카나 (2009년)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011년) 출전권을 획득했다.[3]2023년, 리버풀은 사상 처음으로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우승했다. 시즌 전체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하여 최종 출전 자격을 얻었고, 클라우수라에서도 우승하여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 페냐롤에게 1-0으로 패했지만, 결승전에서 홈 2-0, 원정 1-0, 합계 3-0으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2013-14 시즌 이후 클루브 나시오날 데 푸트볼 또는 페냐롤 외의 클럽이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우승한 첫 번째 사례였다.[4]
3. 경기장
리버풀은 몬테비데오 원더러스가 소유했던 에스타디오 벨베데레에서 홈 경기를 치른다.[1]
4.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및 코파 수다메리카나 성적
코파 리베르타도레스es와 코파 수다메리카나es는 남미 축구 연맹(CONMEBOL)이 주관하는 국제 클럽 대항전이다. 리버풀은 이 두 대회에 여러 차례 참가하였다.
대회 | 시즌 | 결과 |
---|---|---|
코파 수다메리카나 | 2009 | 1라운드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 2011 | 1라운드 |
코파 수다메리카나 | 2012 | 16강 |
코파 수다메리카나 | 2019 | 2라운드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 2021 | 1라운드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 2024 | 조별리그 |
4. 1. 코파 수다메리카나
시즌 | 라운드 | 국가 | 클럽 | 홈 | 원정 | 합계 |
---|---|---|---|---|---|---|
2009 | 1라운드 | 시엔시아노 | 0–0 | 0–2 | 0–2 | |
2012 | 1라운드 | 유니베르시타리오 | 3–0 | 2–1 | 5–1 | |
2라운드 | 엔비가도 | 1–0 | 1–1 | 2–1 | ||
16강 | 인데펜디엔테 | 1–2 | 1–2 | 2–4 | ||
2019 | 1라운드 | 바이아 | 1–0 | 0–0 | 1–0 | |
2라운드 | 카라카스 | 1–0 | 0–2 | 1–2 |
4. 2.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코파 리베르타도레스es에서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시즌 | 라운드 | 상대 국가 | 상대 클럽 | 홈 | 원정 | 합계 |
---|---|---|---|---|---|---|
2011 | 1라운드 | 그레미우 | 2–2 | 1–3 | 3–5 | |
2021 | 1라운드 |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 | 2–1 | 0–3 | 2–4 | |
2024 | 조별리그 | 진행중 |
5. 선수 명단
리버풀 FC (몬테비데오)는 현재 선수 명단, 임대 선수 명단, 그리고 과거 주요 선수 명단을 통해 다양한 선수층을 확인할 수 있다.
5. 1. 현역 선수 (2024년 9월 16일 기준)
2024년 9월 16일 기준 리버풀 FC (몬테비데오)의 현역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등번호 | 포지션 | 국적 | 이름 |
---|---|---|---|
GK | 니콜라스 비코니스 | ||
21 | GK | 세바스티안 렌티넬리 | |
25 | GK | 막시밀리아노 고메스 | |
2 | DF | 에드가르 엘리잘데 | |
4 | DF | 파쿤도 페르도모 | |
6 | DF | 에제키엘 올리베라 | |
14 | DF | 장 로소 | |
17 | DF | 호엘 포이소 | |
18 | DF | 아구스틴 카예타노 | |
23 | DF | 엔초 카스티요 | |
24 | DF | 케빈 아마로 | |
26 | DF | 줄리아노 페레르 | |
27 | DF | 브라이언 벤타베리 | |
32 | DF | 프란시스코 브레간테 | |
7 | MF | 루카스 레모스 | |
8 | MF | 우고 킨타나 (클루브 올림피아에서 임대) | |
11 | MF | 루시아노 아우에드 | |
15 | MF | 디에고 로드리게스 | |
29 | MF | 레오나르도 올라바리아 | |
31 | MF | 루카스 바실레프스키 | |
MF | 요르디 로페스 | ||
9 | FW | 렌초 마차도 | |
10 | FW | 크리스티안 타보 | |
13 | FW | 알폰소 데 루카 | |
16 | FW | 루카스 아코스타 | |
19 | FW | 세르히오 누녜스 | |
20 | FW | 에르베르트 베르가라 | |
22 | FW | 디에고 가르시아 | |
FW | 아벨 에르난데스 |
등번호 | 포지션 | 국적 | 이름 | 임대 구단 |
---|---|---|---|---|
GK | 라파엘 오르노스 | 후벤투드 데 라스 피에드라스 (2024년 12월 31일까지) | ||
DF | 나초 로드리게스 | AVS 푸트볼 SAD (2025년 6월 30일까지) | ||
MF | 아구스틴 곤잘레스 | 브루스케 FC (2025년 6월 30일까지) | ||
MF | 마티아스 실바 | 세로 라르고 FC (2024년 12월 31일까지) | ||
FW | 프랑코 니콜라 | 아틀레티코 투쿠만 (2025년 7월 31일까지) | ||
FW | 마티아스 오캄포 | 브루스케 FC (2025년 6월 30일까지) | ||
FW | 나우엘 소리아 | 클루브 오리엔탈 데 푸트볼 (2024년 12월 31일까지) | ||
FW | 파쿤도 트리니다드 | 후벤투드 데 라스 피에드라스 (2024년 12월 31일까지) |
5. 2. 역대 주요 선수
'''DF'''es- 호르헤 푸실레 2005-2007
- 후안 마누엘 디아스 2007
'''MF'''es
- 페드로 페데루치 2001-2002
- 데바타 야스후미 1986
'''FW'''es
- 세바스티안 소리아 2002-2004
- 가토 겐키 1997-1998
- 후안 이그나시오 라미레스 2015-2021
6. 우승 기록
(컵)
토너먼트
(리그)